나이가 들어서 은퇴를 했을 때, 내가 받을 수 있는 연금은 얼마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시거나, 이미 검색을 해보신 분들이 있으실거에요. 이번 포스팅은 지금까지 내가 모아온 1. [국민연금], 2. [퇴직연금DB, DC], 3. [개인연금], 4. [추가연금(주택연금, 농지연금 등)] 이 얼마나 있을지 한 번에 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금융감독원과 파인에서 제공하는 통합연금포털입니다.
검색창에서 통합연금포털을 검색합니다. 그럼 보통은 제일 상단에 통합연금포털이 나옵니다. 홈페이지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메인화면입니다. 메인화면에서 위의 세부메뉴를 보시면?
홈페이로 들어가서 메뉴를 보시면 위의 그림과 같이 나오게됩니다. 일단 로그인을 하셔야 나의 연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은 공인인증서 혹은 아이디를 입력하면 됩니다. 이후 [내 연금조회]를 들어가시면 됩니다.
그럼 위의 사진처럼 1. 국민연금 2. 퇴직연금(DB, DC, 개인형IRP, 기업형IRP) 3. 개인연금 4. 추가연금(주택연금, 농지연금 등) 이 조회가 모두 됩니다. 내가 금융기관에 연금이라고 납입하는 모든 것들이 조회가 가능하기에 여기서 조회가 되지않으면 본인이 납입하고 있는 연금을 다시 한 번 확인 해보시길 바랍니다.
먼저 국민연금이 가장 위에 조회가 됩니다. 내가 향후에 언제부터 국민연금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 조회가 됩니다. 국민연금은 여기서 조회를 하셔도되고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조회하셔도 됩니다. 어디에서 조회를하시든 금액은 똑같이 나옵니다. 미래가치 예상연금액에서 % 가정을 조정하시면 각자에 맞는 예상연금수령액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퇴직연금 또한 가입이 되어있습니다. 1년 만근을 하면 연말에 회사에서 납입을 해줍니다. 퇴직연금은 DB, DC가 있는데 제가 재직하고 있는 회사는 DC형으로 재직하고 있는 회사에서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입회사 즉, 저의 경우에 흥국생명보험에서 운용을 해주는 것입니다. 저는 흥국생명보험사에 저의 퇴직금을 어떻게 운용해 달라는 [운용지시]를 할 수 있습니다. 운용지시는 본인의 투자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전략이 다릅니다. 자세한 것은 본인이 가입한 퇴직연금 운용사의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알아보시는 것이 가장 빠르고 정확합니다. 저의 경우에 흥국생명보험 홈페이지에 가서 퇴직연금을 조회하면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고, 수익률이나 운용지시를 할 수 있습니다.
개인형 IRP, 기업형 IRP 또한 납입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선택에 따라 7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이 있으니 공제한도까지 개인연금이나 IRP를 납입한다면 보통 700만원 x 15% = 105만원 의 소득세를 절세하실 수 있습니다.
보통 DC형에 가입이 되어있으면, DB형에는 가입이 안되어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마지막으로 개인연금입니다. 개인연금은 최초에는 신탁, 펀드, 보험으로 가입이 되었지만 현재 신탁형은 가입이 되지 않고, 펀드와 보험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최초에 신탁으로 가입을해서 펀드로 이동을한 케이스입니다. 저는 한국투자증권에 개인연금계좌를 개설하고 연금펀드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위의 퇴직연금 DC형과는 다르게 내가 펀드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언제든지 매수나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개인연금은 400만원을 한도로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절세 예상금액은 400 만원 x 15% = 60만원의 소득세를 절세할 수 있습니다.
위는 연금계약정보 옆에 있는 예시연금액에서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여기서 내가 몇살때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현재시점에서 조회를 하는 것입니다. 향후 내가 연금을 지속적으로 납입을 해나갈수록 당연히 금액이 증가할 것입니다.
그래프로 보는 나의 연금액입니다. 그림으로 보니 조금 더 직관적입니다.
연금저축 상품인 펀드와 보험의 차이점입니다. 제가 소개해드린 것 이외에도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통합연금포털입니다. 한 번씩 나의 노후가 불안할 때 접속하셔서 내가 받을 수 있는 연금은 얼마인지 확인하고 노후설계를 미리 해보는 것도 좋은 금융습관인 것 같습니다.
'우상향에 투자하자 > 투자자산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토막주식] 미래에셋대우보다 반년을 앞선 비운의 월배당 호텔리츠 (0) | 2020.09.20 |
---|---|
[꼭 필요한 금융지식] 공짜 무료로 신용등급 조회하기(나이스지키미, 올크레딧) (0) | 2020.09.14 |
한국형 뉴딜에 영향을 받는 수혜주, 쭉쭉 신고가 찍을 주식은? (0) | 2020.08.11 |
10억원 가즈아 ! (0) | 2020.08.02 |
[개인연금펀드] 2020년 07월 기준 (0) | 2020.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