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배당 ETF 추천] #3 Invesco S&P 500 High Dividend Low Volatility ETF 소개
본 글은 객관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저작자의 주관적인 의견을 서술한 것입니다. 아래의 글은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제공의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및 대출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망라하여 제공하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저작자는 투자 및 대출의 회수 가능성, 투자 수익률에 대한 어떠한 확증이나 보증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투자 및 대출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본 글 내용 이외에 시장의 변동성을 포함한 거시경제변수의 향후 변화가능성과 기타 통제 불가능한 요소의 변동에 따른 리스크 등 여타의 경제적 상황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Invesco S&P 500 High Dividend Low Volatility ETF
ETF개요
Ticker는 SPHD 입니다. 미국 ETF를 조금 검색해보신 분들에게는 익숙한 ETF입니다.
배당 ETF보다는 성장 ETF로 분류됩니다.
SPHD는 변동성이 적고, 수익성이 높은 S&P500 주식을 투자하여 대형주를 무조건 추종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유틸리티, 제조업 등으로 이루어진 방어주에 비중이 높습니다.
SHPD는 총 운용보수가 다른 대형 ETF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이를 배당금으로 다소 상쇄하는 ETF입니다.
현재 주가는 $ 28.72 입니다.
현재 주가를 기준으로 배당수익률은 4.45% 이나, 코로나 사태로 배당금이 하락된다면 이 또한 하락 가능성이 있습니다.
SPHD가 투자하고 있는 주요 산업 TOP 10 입니다.
방어적인 성향을 가진 ETF로 금융, 유틸리티, 소비주, 에너지주가 상위 4개 업종에 들어옵니다.
우리가 아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 IT는 Tech업으로 분류될 것 같은데
비중이 2.36% 정도로 낮은 수준입니다.
투자하고 있는 상위 10개사 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전체 회사는 View All 을 누르시면 되는데
아래 해당 홈페이지 링크를 걸어드릴테니 전체 목록을 보고싶으신 분들은 링크를 통해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펀드 티커는 SPHD 입니다.
인터넷 검색 창이나 증권사 HTS, MTS에서 검색하고 싶으시면 SPHD를 적으시면 됩니다.
총 운용보수는 0.3% 입니다.
최초 개시일은 2012년 10월 18일에 상장되어 거래가 된 ETF입니다.
아래는 배당지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2020년 03월까지 지급이 완료되었습니다.
현대 대부분 ETF의 배당은 03월 혹은 04월부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배당금이 지급되지 않거나, 다소 줄어든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SPHD의 배당지급액을 보니 아직 하락된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지는 않고 있습니다. 04월 배당금을 보시고 투자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Invesco S&P 500 High Dividend Low Volatility ETF 는 MSCI ESG 등급에서 A 등급을 부여받았습니다.
MSCI ESG는 펀드의 환경이나 사회, 지배구조 등의 요소에서 발생하는 장기적인 위험에 대해 포트폴리오의 복원력을 나타냅니다. 최소 CCC ~ 최대 AAA 로 등급을 평가합니다. 등급이 높을수록 환경, 사회, 지배구조라는 문제에 대처하는 역량이 좋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제가 위에서 설명한 내용이나 사진 등은 모두 아래 링크를 들어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etf.com/SPHD#overview
SPHD
Learn everything about Invesco S&P 500 High Dividend Low Volatility ETF (SPHD). Free ratings, analyses, holdings, benchmarks, quotes, and news.
www.etf.com
아래 링크는 4번 째 ETF 소개입니다.
https://kimbeta.tistory.com/65
[월배당 ETF 추천] #4 WisdomTree U.S. High Dividend Fund 소개
본 글은 객관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저작자의 주관적인 의견을 서술한 것입니다. 아래의 글은 금융상품에 대한 정보제공의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및 대출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망라하여 제공하..
kimbeta.tistory.com